센서의 용품과 세부규격

센서의 모양에 따른 센서 분류법

센서의 종류(모양별)
특징 및 장단점
주 사용처
센서의 ON/OFF 제어형태

오뚜기식 센서

오뚝이 모양으로 되어있고 부력을 이용하여 센서의 ON/OFF 신호를 출력함 장점: 설치가 간편함. 설치의 제약이 적어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함 단점: 노후화가 쉽게 일어나 작동보증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줘야함.

소형건물 부터 특수목적건물까지 다방면으로 사용됨. 유체탱크(물탱크,오수탱크 등)에 사용됨

오뚜기볼이 특정 기울기로 움직였을 때

플로트식 센서

막대 모양으로 되어있고 부력의 종방향을 이용하여 센서의 ON/OFF 신호를 출력함 장점: 구조적으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강함 단점: 설치환경에 따라 설치가 어려울 수 있음

소형~대형건물 유체탱크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에 주로 사용됨 탱크의 깊이가 야주 얕은 경우(10cm 이하)에도 사용됨

플로트봉에 장착되어있는 부력장치가 움직였을 때

플로우식 센서

센서 내부의 나팔모양의 기계장치가 있어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센서의 ON/OFF 신호를 출력함 장점: 대량의 유체이동이 발생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강함 단점: 파이프 크기에 따라 설치가 불가능 할 수도 있음

중형~특수목적건물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에 설치됨

유체가 기계내부의 장치를 건드렸을 때

전극봉식 센서

봉 모양이 주철 혹은 스테인레스로 되어있음 봉으로 미량의 전류를 인가하여 봉 끝부분에 유체가 닿았을 때 센서의 ON/OFF 신호를 출력함 장점: 설치가 간편함 단점: 부식이 쉽게 됨

전천후 사용됨

유체가 봉에 닿았을 때

기어식 센서

본체 내부에 줄이 달려있어 줄이 내려가는 길이에 따라 전류의 변화값 혹은 저항의 변화값 신호를 출력함

중형~특수목적건물 깊이가 깊은 중~대형 탱크

기계내부의 줄이 움직였을 때

레이더식 센서

본체에 초음파 혹은 레이더 장치를 이용해 수위의 변화값을 측정함

센서의 신호출력 방식에 따른 센서 분류법 및 기본회로

수위조절기 센서는 신호출력 방식에 따라 전류식과 저항식이 있습니다.

전류식 센서

전류식 센서는 센서 내부의 접점운용에 따라 특정한 전압(V)으로 부하를 걸었을 시 5~20mA 사이의 전류값을 출력하며 이 값을 컨트롤러에 전달합니다. 컨트롤러는 센서가 전달해주는 전류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펌프운영 시퀀스를 만듭니다.

저항식 센서

저항식 센서는 컨트롤러에서 특정한 전압(V)으로 부하를 걸었을 시 센서 내부의 0~1000옴 사이의 저항을 거쳐 0~1.5V 사이의 전압값을 출력하며 이 값을 컨트롤러에 전달합니다. 컨트롤러는 센서가 전달해주는 전압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펌프운영 시퀀스를 만듭니다.

센서로 가는 부하의 전압은 무엇일까요?

전류식/저항식 센서와 관련없이 부하를 걸어주는 전압(V)은 교류(AC)가 될수도 있고 직류(DC)가 될 수도 있습니다. 이는 컨트롤러에 따라 상이하므로 컨트롤러의 기술사양서를 반드시 참고해야 합니다.

센서의 출력방식
신호출력값
주 사용 센서

전류식

5~20mA

오뚜기식 / 플로트식 / 플로우식 / 전극봉식 등 전체적으로 고루 씀

저항식

0~1.5V

오뚜기식 / 플로트식 등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